도, 를 아십니까?
장도 長刀
고려 후기에 원나라에서 도입된 장도는 조선 시대로 이어져 조선 후기의 협도와 월도의 기능 및 형태는 거의 동일하며 다만 다른 점이라면 코등이가 없고 칼등에 소꼬리 장식이 없으며 길이가 좀 더 짧다. 장도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공격 가능 거리가 멀고 관통력도 강하지만 창날 안 쪽으로 들어오는 적에게는 취약한 장창을 지원하였다.
월도 月刀
월도는 달이 누운 것과 같다하여 언월도라고 하며, 눈썹이 뾰족한 것과 같다고 하여 미첨도 라고도 한다. 자루의 끝에 용머리가 조각되어 있는 월도를 특히 청룡언월도라고 한다. 길고 무거운 칼날을 긴 자루에 달아서 칼의 무게로 찍듯이 베는 장병기이다. 언월도의 기원은 전한시대의 참마도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시대가 바뀌 면서 모습이 변해 당나라 때 정립이 되어 명나라 때까지 사용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임란 이후 언월도의 기예를 적극적으로 도입했으며 <무예도보통지>에 이의 사용법이 수록되어 있다.
<무예도보통지>는 <왜한삼재도회>를 인용하여 "왜인의 신묘한 칼 솜씨도 언월도의 휘두름 아래서는 피할 곳이 없었기에 언월도를 칼 중에 제일이라고 하는 것은 헛말이 아니다." 라고 하여 왜검을 상대할 때도 언월도가 효과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조선 후기의 반차도 등에서 관원이 언월도를 들고 행렬 앞에 서거나 궁문을 지키는 병사들이 시위용으로 들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무예제보번역속집>에 나오는 청룡언월도는 자루의 길이가 5척이고 날 길이는 2척이다. <무예도보통지> 의 월도는 자루 길이가 6척 4촌이고 날 길이는 2척 8촌이다. 무게는 18~24kg 정도 된다. 칼등은 두 갈래로 되어 아래 갈래에 구멍을 뚫어서 붉은 빛깔의 삭모를 달고 밑에는 용의 아가리를 물리었다. 칼자루는 붉은 칠을 하여 끝에 12cm 정도의 물미(끝이 뾰족한 쇠)를 맞추었다.
협도 狹刀
협도는 목체의 폭이 좁은 칼로서 월도에 비해 작은 칼날을 가지고 있어 날렵할 뿐만 아니라 창류의 찌르기 특성도 갖고 있다. 칼날의 길이는 3척~4척 (약 60~93cm)인데 비해 자루의 길이는 무려 7척~10척 (약 145~217cm)였다. 무게는 약 2.5kg로 전투 시 선두에 서서 길을 여는 데 효과적이었다. 『무예도보통지』의 협도보를 보면 격법보다는 자법이 훨씬 더 많다.